Saturday, March 28

Interaction design



Interaction design (3)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이 App의 주된 기능목적을 어떤 방향으로 잡을 것인지에 대한 회의를 시작했다.


[ 이용자들이 원하는 기능 ]

1위. 초중고급의 난이도별 제품 만들기 안내
2위. 나만의 D.I.Y 재료 공구 (초보자를 위한 재료 키트 포함)
3위. 어플로 완성하는 나만의 D.I.Y 제품







먼저 1위인 '초중고급의 난이도별 제품 만들기 안내' 를 주기능으로 잡고 회의를 진행했다.


Instargram 이나 Facebook 같은 SNS 방식으로
이용자들이 서로의 D.I.Y 작품을 소개하며, 난이도별 제품 만들기 동영상이나 사진을 공유하는 식의
Communication App 에 대한 아이디어가 나왔다.

그러나 이미 많은 SNS App이 나와있고, 그 안에서 해시태그(#)를 이용한 교류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있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했다.









2위인 '나만의 D.I.Y 재료 공구(공동구매)' 를 주기능으로 잡는다면?

'공동구매' 는 
한 상품을 필요로 하는 구매자들이 모여 물건을 구입할 때 단체로 구입함으로써
대량구매를 통한 차별적인 가격할인을 받아 기존의 가격보다 저렴하게 구입하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이 공구를 어플을 통해 어떻게 되게 할것인가, 그 시스템 구축에 대한 해결방안이 나오지않아 회의가 진전이 없었다.
공구의 방식에 너무 얽매여있어 벽에 막히게 되었나싶어 과감히 공동구매 라는 키워드는 버렸고,
공동구매의 장점인 "저렴한 가격" 에 키워드를 맞추어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게 되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정리 된 우리의 D.I.Y App.


상점과 제휴를 맺어 상점의 제품들을 D.I.Y App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가격에 제공할 수 있다면
공동구매의 장점도 살리면서, 상인들에게도 좋은 효과를 안겨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정리가 되었다.




이렇게해서 D.I.Y App의 목적은

"소상인들의 경제를 살리고, 소비자에게는 보다 저렴한 가격 
& 쉽고 편리한 방법으로 재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한다."

로 최종 결정되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