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June 17

Interaction design (2-4)







In-depth interview 이후 페이퍼 프로토타입을 만들기 위한 
기능 정리를 먼저 시작했다.
처음엔 수면케어(유도,알람)와 피드백(통계,진단)을 구분하여 뎁스를 만들고
메인페이지를 피드백이 아닌 알람으로 지정했었다.

하지만 우리 어플의 주 목적이 수면'알람'이 아닌 수면'케어'이므로,
알람보다 피드백 페이지가 먼저 보이는게 더 효과적일 것 같아 
메인페이지를 피드백페이지로 지정하기로했다.











Interaction design (2-5)


그리고 진행 한 paper prototyping.




우리 팀의 프로토타이퍼였던 민영이가 제작한 것.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들어오면 
가장 먼저 수면패턴을 분석한 통계가 보이고,
밑으로 스크롤을 내리면 피드백이 나오게 구성되어있다.
(기능정리 단계에서 픽스했던 것.)

앞서 조사했던 수면습관에 대한 분석 페이지도 따로 만들어 구분해 놓았고,
오른쪽 위의 종 아이콘을 누르면 알람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알람 설정은 기존 알람 어플(안드로이드 기본 알람)과 똑같이 구성하였고,
불면증을 겪고있는 유저들을 위한 '수면유도' 기능을 추가하였는데,
알람페이지에서 왼쪽상단에 있는 달+별 모양의 아이콘이 '수면유도' 기능이다.
소리 종류와 크기를 유저가 선택할 수 있고, 타이머를 맞춰놓으면 맞춰놓은 시간까지 
조용한 음악이 흘러나와 심신의 안정을 시켜주며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해준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